동양서 문헌
1) 글쓴이 이름은 항상 맨 앞에
2) 논문, 평문, 단행본 속의 짧은 글 「」
3) 석 박사 학위 논문 「」
4) 단행본 『』
5) 연속 간행물 (일간 / 주간 / 월간 / 격월간 / 계간, 부정기) 《》
* 단행본 → 진중권, 『미학 오디세이』1, 서울 : 새길, 1994
* 논문 → 정안희, 「미국 헌법상의 탄핵제도」, 《공법연구》 제 30권 제1호, 한국공법학회, 2001.
* 번역서 → 헬레나 노르베리-호치, 『오래된 미래 - 라다크로부터 배운다』, 김종철 역, 녹색출판, 1996, 100쪽
↖부제처리방법
▷ 한국 책 인용시 '쪽' '면'이라 한다.
* 편저 개정판 → 대한 병리 학회 편, 『병리학』, 고문사, 1990
→ 공저가 3명 초과일 경우 맨 앞의 사람만 적고 '외' '등'이라고 하면 된다.
공저가 3인까지는 모두 기입한다. 동양인명은 이름 사이에 가운뎃점( · )을 찍고, 서양인명은 ' , and'식으로 표시한다.
단행본 | 연속 간행물 |
① 저자명 | ① 필자명 |
② 서명 | ② 논문제목, 기사제목 |
③ 편자(eitor), 역자<필요시> | ③ 간행물명 |
④ 판 차(edition), <필요시> | ④ 권수, 호수 |
⑤ 총서명과 권(호)수 <필요시> | ⑤ 출판사항 (잡지사 / 대학 / 학회, 출판년도) |
⑥ 출판사항 (출판지 : 출판사, 출판년도) | ⑥ 인용, 참고한 페이지 |
⑦ 인용, 참고한 페이지 |
* 단행복 각주의 기본적인 형식
국문 : 저자명,『서명』(출판사,출판년도),p.5.
영문 : 저자명, 서명(출판사,출판년도), pp.5-7.
* 인용 참고한 페이지 표시
p.70. pp.70-72.
100면 100-102쪽.
* 편자, 편찬자의 책임 아래 제작된 자작물은 인명 뒤에 '편', 'ed.', 'comp.'등으로 표시하여 원저자가 아님을 분명히 한다.
* 내용 내지 인쇄판의 변동을 의미하고 '증보판', '제3판'등의 판 차는 판권자를 기준으로 하여 서명의 다음에 적는다.
* 출판지와 출판사 사이에 쌍점(:)을 넣는다.
* 연속간행물 각주의 기본적인 형식
국문 : 필자명, 「논문제목 / 기사제목」,《논문집명/잡지명》호수(학회/대학/연구소/잡지사,발행년도),p.5.
영문 : 필자명, "논문제목/기사제목", 논문집명/잡지명 권수 (학회/대학/연구소/잡지사, 발행년도), pp. 5-7.
→ 논제나 기사명은 동양서의 경우 '「」'안에 적고, 서양서는 따옴표(" ")안에 적는다.
서양서 - 단행본 : 이탤릭체 (밑줄을 그어놓으면 인쇄시 이탤릭체를 사용한다)
논문, 평문 : " "
연속간행물 : 이탤릭체
* Ibid
라틴어 ibidem의 약어로 바로 앞에서 주석된 문헌을 다시 인용하고자 할 때 사용한다.
Ibid., pp. 28∼29
위의 글, 위의 논문, 위의 책
* op. cit
라틴어 opere citato의 약어로 앞에서 주석된 문헌을 다시 언급하고자 하나 중간에 다른 주석이 삽입되어 있어서 Ibid를 쓸 수 없을 때 사용한다.
Noam chomsky, op.cit., pp.71∼72
앞의 글, 앞의 논문, 앞의 책
* 참고 문헌의 경우 사람 이름 뒤에 , 대신 · 을 사용하며 성을 앞에 쓰고 뒤에 쉼표를 찍어둔다.
chomsky, Noam.
'학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지식정보 사회론 (0) | 2011.05.30 |
---|---|
2009년 vs 2019년의 사회 비교 (0) | 2011.05.30 |
글쓰기 주의점 (0) | 2011.05.28 |